귀농 정보 : 농사 순순익 알아보기 1편 딸기

2025. 2. 17.

귀농 정보 : 농사 순수익 알아보기 1편 딸기
귀농 정보 : 농사 순수익 알아보기 1편 딸기

귀농 정보 : 농사 순수익 알아보기 1편 딸기

안녕하세요! 워크농입니다.

오늘은 전국의 많은 농업인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시설딸기 농가의 실제 수익성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농가의 수입과 경영비에 대해 정부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직접 저희가 비교 분석한 내용을 공유드립니다.


앞으로 다양한 작물과 생태에 대해서 일반 농업인분들이 직접 알아보기 힘든 내용을 정리하여 올릴 예정이니, 보고 싶은 작물의 내용이 있거나, 지역의 여러 작물의 비교가 필요하거나 등 궁금하신 사항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의견 반영하여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국 시설딸기 농가의 실제 순수익은?


우선 위 그래프와 이후에 나올 그래프는 전국 평균 10a(300평) 당 총수입, 경영비를 보여드립니다.

순수익은 총수입에서 경영비를 제외한 금액으로 실제로 농가에서 가져가는, 말 그대로 남는 금액을 뜻합니다.

소득률은 총수입 대비 남는 돈(순수익)의 비율을 보여줍니다.

시설 딸기의 경우는 작물 중에서 수입이 높은 작물 중 하나인데요, 소득률이 시간이 지날 수록 낮아지고는 있지만 40%이상이 나오는 등 꽤 높은 모습을 보여줍니다.

소득률(순수익)을 계속 강조하는 이유는 농업 분야에서 수익을 단순히 매출액으로만 판단하기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출하량, 단가, 그리고 경영비 등 여러 요소들이 균형을 이루어야 최종 순수익이 결정됩니다.

  • 전국 평균 순수익:26,590,440원

  • 평균 소득률:43.26%


이 데이터는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수입이 높더라도 경영비용이 함께 상승하면 순수익은 오히려 낮아질 수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인데요.

즉, 농가의 수익성은 단순 작업량 증가보다는 체계적인 경영진단과 효율적 운영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지역별 순수익 그래프

총수입은 약 2천5백만원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소득률이 51.9%로 가장 높아 경영 효율성이 뛰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수입과 경영비가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이며, 소득률은 42.6%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총수입이 3천만원 이상으로 가장 높지만, 소득률은 39.3%로 낮아 비용 관리가 필요해 보입니다.


2023년 총수입도 증가했고 소득률이 43.8%로 상승한 것이 특징적입니다. 효율적인 비용 관리가 이뤄진 것으로 보입니다.


소득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43.7% → 41.4%)로, 비용 절감을 위한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 알고 계셨나요?



- 수입과 순수익의 차이:
수입이 높아 보인다고 해서 실제 남는 돈이 많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농가에서는 생산비, 인건비, 운영비 등 다양한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비용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순수익이 개선됩니다.

- 균형 잡힌 농업 경영의 중요성:
농가의 성공적인 경영은 출하량, 단가, 경영비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에 있습니다.
단순히 노동을 늘리기보다는, 기술 향상과 판로 개척, 비용 절감 등 종합적인 경영 전략이 필요합니다.





---

오늘은 이렇게 총수입과 경영비를 바탕으로 전국 시설 딸기의 현황에 대해서 분석해보았습니다.


우리 지역의 작물 내용이 보고 싶다거나,

내가 키우는 작물의 생태가 궁금하시다거나

단순한 순수익 비교뿐 아니라 또다른 정보도 알고 싶다는 분들은


댓글에 남겨주시면 알찬 정보를 전달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순수익 분석이 중요하다는건 알겠지만

스스로 하기 어려우시다면

시간이 없으시다면


아래 워크농에서 영농장부 쉽게 작성하고

분석 데이터까지 받아보세요!

#귀농 #시설딸기 #농가순수익


© (주)모두의플래닛 2024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520, 14층

353-87-02766 | 대표자: 김영찬

info@eplanet.kr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520, 14층

353-87-02766 | 대표자: 김영찬

info@eplane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