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경기도 농어민 기회소득 요약정리

2025. 3. 4.

2025년 경기도 농어민 기회소득 요약정리
2025년 경기도 농어민 기회소득 요약정리

2025년 경기도 농어민 기회소득 요약정리

안녕하세요 워크농입니다!
오늘은 경기도 농민이라면 주목해야할만한 소식을 들고 왔습니다!
바로 농어민 기회소득에 대해서인데요, 3월 4일 오늘부터 신청인 것으로 나와있지만, 가장 빠른 지자체 신청일이 3월 7일인 것으로 나와있고, 신청기간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확인하시고 신청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경기도는 이전부터 청년 기본소득이나, 도민 기본소득처럼 이와 유사한 제도를 많이 시도를 했었고,
이 농어민 기회소득 관련해서는 농촌기본소득 시범사업(연천군 청산면)을 운영하여 반응을 확인한 뒤 진행이 되고 있습니다.


농어민 기회소득이란?

농어민 기회소득은 농어업·농어촌의 소멸위기에 대응하고 공익적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 창출 활동을 하는 농어민에게 지급하는 소득지원 제도입니다.
특히 미래 인적자원인 청년농어민, 귀농어민, 환경농어민에게 집중 지원하여 농어촌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경기도의 전국 최초 지원사업입니다.

지원 규모 및 예산

사업량: 24개 시군 21만명
사업비: 1,548억 1천만원(도비 50%, 시군비 50%)
지원금액: 농어민 개인에게 월 5~15만원 지역화폐로 지급

2025년 확대 시행

올해는 용인시, 파주시, 양평군을 시작으로 화성, 남양주, 안산, 평택, 시흥, 김포, 의정부, 광주, 하남, 광명, 군포, 양주, 오산, 이천, 안성, 의왕, 포천, 여주, 동두천, 가평, 연천 등 24개 시군으로 확대하여 농어민 21만 명에게 지원합니다.


대상자

해당 시·군에 주소를 두고 농어업경영체로 등록되어 실제 농어업에 종사하는 농어민:
청년농어민 (월 15만원)
-50세 미만 농어민(40~50세 미만은 경영체 등록 10년 이내)
귀농어민 (월 15만원)
-귀농·귀어한지 5년 이내 농어민
환경농어민 (월 15만원)
-친환경농수산물, 동물복지축산농장, 가축행복농장, 명품수산물 인증받은 농어민
일반농어민 (월 5만원)
-농어업을 주업으로 하며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하는 농어민
지원 기준
거주기간: 해당 시·군 연속 1년(또는 경기도 내 비연속 2년) 이상 (귀농어민은 적용 제외)
영농영어기간: 해당 시·군 연속 1년(또는 경기도 내 연속 2년) 이상 (귀농어민은 적용 제외)
소득기준: 농외소득 3,700만원 미만
연령: 만 19세 이상(후계농, 생계부양자는 19세 미만도 가능)
제외대상자
사업체 고용 임직원
농수산물 생산 외 활동만 하는 자
영농활동이 자유롭지 않은 자
부정수급자
농촌기본소득시범사업 대상자(연천군 청산면)


신청절차

  1. 신청접수: 시·군/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신청서 제출
  2. 서류심사: 제출서류 확인·심사
  3. 현장심사: 실제 농어업 종사 여부 현장조사
  4. 총괄심사: 지급기준 충족여부 심사
  5. 지급결정: 최종 대상자 확정·지급


지차체별 신청기간


지역화폐 사용 안내

-사용 기간
1차 지급분: ~2025년 12월 31일
2차 지급분: ~2026년 6월 30일
기간 경과 시 자동 환수
-사용처
지역 소상공인 매장
지역농축협
소상공인 매장 이용 권장(지역사회 상생)

자주 묻는 질문

Q: 농촌기본소득과 중복 지원이 가능한가요?
A: 중복 지원은 불가합니다. 농촌기본소득시범사업 지역(연천군 청산면) 대상자는 농어민 기회소득 대신 농촌기본소득으로 신청해야 합니다. 두 제도는 대상과 목적이 다르지만 중복 수급 방지를 위해 하나만 선택해야 합니다.
Q: 경영체 등록은 어떻게 하나요?
A: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농업), 산림청(임업), 지방해양수산청(어업)에서 가능합니다. 이 등록은 각종 농어업 지원을 받기 위한 필수 절차입니다.
Q: 지원금은 어떤 형태로 받게 되나요?
A: 시·군 지역화폐로만 지급되며, 현금 지급은 불가합니다.

--

위 글은 2025년 3월 4일 기준 "2025년 경기도 농어민 기회소득 지원사업 시행지침(최종)" 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신청기간은 시군별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농어민기회소득 #지원금







© (주)모두의플래닛 2024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520, 14층

353-87-02766 | 대표자: 김영찬

info@eplanet.kr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520, 14층

353-87-02766 | 대표자: 김영찬

info@eplanet.kr